학습개요
신청하실 학습기간을 선택하세요.
연관과정
과정소개
학습목표
ㅇFTA·FMEA 실행 프로세스 파악 및 고장 모드 해결 방법 습득
ㅇ설계 단계에서 잠재적 고장 모드와 영향에 대한 체계적 분석 능력 향상
ㅇ양산 이후 발생되는 실패 비용 절감 및 잠재 고장 원인 파악으로 신뢰성 확보
ㅇ설계 단계에서 잠재적 고장 모드와 영향에 대한 체계적 분석 능력 향상
ㅇ양산 이후 발생되는 실패 비용 절감 및 잠재 고장 원인 파악으로 신뢰성 확보
학습대상
ㅇR&D, 신뢰성 평가, 품질, QA 관련 전문가 및 실무자
ㅇ시스템의 RAMS, RCM 관련 실무자
ㅇ시스템의 RAMS, RCM 관련 실무자
학습내용
모듈 | 세부 내용 | 일차 |
---|---|---|
제품의 결함 계통 식별을 위한 FTA |
ㅇFTA 전개 이론 ㅇRBD와 FTA 매칭 관계 [실습] RBD와 FTA 매칭 관계 사례와 토론 |
1일차 09:00~17:00 |
FMEA 실행 지원을 위한 FTA |
ㅇFMEA와 FTA의 연계성 ㅇFTA 전개 실습 [실습] 제품에 대한 FTA 실습과 사례 토론 | |
잠재적 고장 형태 제거를 위한 FMEA이론 |
ㅇFMEA 목적/FMEA 종류와 진행 절차 ㅇ고장 모드 분석 방법 ㅇ고장 모드 분석과 코스트 관리 [실습] 제품에 대한 FMEA 실행 장표 작성 |
2일차 09:00~17:00 |
설계상 잠재적 고장 형태 제거를 위한 설계 FMEA |
ㅇ설계 FMEA 도입 ㅇFMEA 팀 구성과 설계 매트릭스 ㅇ설계 FMEA 전개와 실행 [실습] 제품에 대한 FMEA 실행 | |
공정상 잠재적 고장 형태 제거를 위한 공정 FMEA |
ㅇ공정 FMEA의 실행 범위와 정의 ㅇ구조 분석/기능 분석/고장 분석 ㅇ위험원 분석/최적화/문서화 ㅇ공정 FMEA 전개 및 실행 ㅇ관리 계획서 연계성 이해 [실습] 제품에 대한 공정 FMEA 실행 |
3일차 09:00~17:00 |
코스트 분석을 위한 FMEA 활용 방법 |
ㅇ시나리오 기반 FMEA 이론 ㅇ코스트와 RPN 상관성 분석 ㅇ경영 분석과 FMEA [사례 연구] 코스트와 RPN간 상관 관계 분석 |
1월 | 2월 | 3월 | 4월 | 5월 | 6월 | 7월 | 8월 | 9월 | 10월 | 11월 | 12월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3-5대구 | 29-31가산 | 7-9가산 | 16-18수원 | 15-17부산 | 11-13대전 | 17-19가산 |
[품질] 카테고리 최다 클릭 과정
[품질] 카테고리 만족도 높은 과정
- 교육신청